기능 | 명령어 |
폴더 생성하기 | mkdir folder name |
Git 저장소 생성 | git init |
현재 위치 이동하기 | cd folder name |
파일 생성하기 | touch file name |
현재 위치의 파일 보기 | ls |
커밋 메세지 남기기 | git commit -m "" |
파일 한 번에 추가하기 | git add . |
깃 상태 확인하기 | git status |
히스토리 보기 | git log |
파일 삭제하기 | git rm |
기능 | 명령어 |
폴더 생성하기 | mkdir folder name |
Git 저장소 생성 | git init |
현재 위치 이동하기 | cd folder name |
파일 생성하기 | touch file name |
현재 위치의 파일 보기 | ls |
커밋 메세지 남기기 | git commit -m "" |
파일 한 번에 추가하기 | git add . |
깃 상태 확인하기 | git status |
히스토리 보기 | git log |
파일 삭제하기 | git rm |
이름 | 문법 | 특징 및 예시 |
헤더(Header) | # | # 개수에 따라 헤더의 크기가 달라짐 |
굵은 글씨(Bold) | **, __로 감쌈 | **굵은 글씨** __굵은 글씨__ |
기울림 글씨(Italic) | *, _로 감쌈 | *기울림 글씨* _기울림 글씨_ |
목록(List) | -, *, + | ⬅️ 순서가 없는 목록 |
1. , 2. , 3. | ⬅️ 순서가 있는 목록 | |
링크(Link) | [링크 텍스트](URL) | [Google](https://www.google.com) |
이미지(image) | ![이미지 텍스트](이미지 URL) | |
인용문(Blockquote) | > | > 이건 인용문입니다. |
코드(code) |
`으로 감쌈 | ⬅️ 한 줄 코드 |
```으로 감쌈 | ⬅️ 여러 줄 코드 블록 | |
수평선(Horizontal Line) | ---, ***, ___ | |
테이블(Table) | | 과 - 사용해서 만듦 | 표 같은 것들 |
하이퍼링크 자동 변환 | 이메일 주소나 URL 입력 | |
체크리스트 |
[ ] 항목 1 | ⬅️ 체크되지 않은 항목 |
[x] 항목 2 | ⬅️ 체크된 항목 | |
줄 바꿈(Line Break) | 두 개의 공백(라인 끝에) + 엔터키 | <br> |
개념 | Python에서 관련된 함수, 클래스, 변수 등을 하나의 파일에 모아놓은 코드 묶음 |
특징 | 코드를 재사용하고,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음 |
Python 파일(.py) 하나가 하나의 모듈이 됨 |
# my_module.py라는 모듈
def greet(name):
return f"안녕하세요, {name}님!"
import 모듈이름
<예시>
import math # 수학 관련 함수들을 포함한 math 모듈
result = math.sqrt(16) # math 모듈의 sqrt 함수 사용
print(result) # 4.0
# math 모듈을 불러와서 sqrt 함수를 통해 16의 제곱근을 구했음
<모듈에 별칭 붙이기> as
import math as m # math 모듈을 m이라는 별칭으로 사용
result = m.sqrt(25)
print(result) # 5.0
개념 | 모듈 전체가 아닌 모듈 내의 특정 함수, 클래스, 변수를 선택적으로 불러올 수 있음 |
from 모듈이름 import 항목이름
<예시>
from math import sqrt # math 모듈에서 sqrt 함수만 불러옴
result = sqrt(36)
print(result) # 6.0
<여러 항목 불러오기> 쉼표로 불러올 수 있음
from math import sqrt, pow # sqrt와 pow 함수를 불러옴
result1 = sqrt(49)
result2 = pow(2, 3)
print(result1) # 7.0
print(result2) # 8.0
python은 다음 순서로 모듈을 찾음
1. 현재 작업 디렉터리 | 현재 실행 중인 스크립트가 있는 폴더 |
2. 표준 라이브러리 경로 | Python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위치한 폴더 |
3. 환경 변수에 지정된 경로 | PYTHONPATH 환경 변수에 지정된 폴더 |
모듈이 이 경로들 중 하나에 존재하면 import 또는 from 구문을 통해 해당 모듈을 불러올 수 있음 |
🔥 패키지를 불러올 때에는 __init()__.py 파일이 있어야 python에서 패키지로 인식됨
자주 사용되는 내장 함수들 (0) | 2024.12.07 |
---|---|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print(), input(), len(), type(), int(), float(), str(), sum(), min(), max(), sorted(), abs(), round()
함수 | 개념 | 예시 |
print() |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 | print("Hello, World!") |
문자열을 포맷팅하여 출력할 때 사용 | print("Python", "is", "fun", sep="-") # Python-is-fun |
|
input() | 사용자 입력받기 (*항상 문자열로 반환됨) | name = input("이름을 입력하세요: ") print(f"안녕하세요, {name}님!") |
len() | 문자열, 리스트, 튜플 등의 길이를 구할 때 사용 | text = "Hello" print(len(text)) # 5 |
요소의 개수도 반환함 |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 print(len(fruits)) # 3 |
|
type() | 변수가 어떤 데이터 타입인지 확인할 때 사용 | a = 10 b = 3.14 c = "Python" print(type(a)) # <class 'int'> print(type(b)) # <class 'float'> print(type(c)) # <class 'str'> |
int() | 정수 변환 | num_str = "100" num_int = int(num_str) print(num_int) # 100 |
float() | 실수 변환 | num_float = float("3.14") print(num_float) # 3.14 |
str() | 문자열 변환 | num = 50 num_str = str(num) print(num_str) # "50" |
sum() | 데이터 집합의 합계를 구할 때 사용 | numbers = [1, 2, 3, 4, 5] total = sum(numbers) print(total) # 15 |
min(), max() | 최솟값, 최댓값 | numbers = [3, 1, 4, 1, 5, 9] minimum = min(numbers) maximum = max(numbers) print(f"최솟값: {minimum}, 최댓값: {maximum}") # 최솟값: 1, 최댓값: 9 |
sorted() | 오름차순으로 정렬 | numbers = [5, 3, 8, 6, 2] sorted_numbers = sorted(numbers) print(sorted_numbers) # [2, 3, 5, 6, 8] |
reverse = True | 내림차순으로 정렬 | numbers = [5, 3, 8, 6, 2] sorted_numbers = sorted(numbers) print(sorted(numbers, reverse=True)) # [8, 6, 5, 3, 2] |
abs() | 절댓값 | num = -10 print(abs(num)) # 10 |
round() | 지정된 자릿수까지 반올림 | pi = 3.14159 print(round(pi, 2)) # 3.14 |
모듈(import, from), 모듈 탐색 경로 (2) | 2024.12.07 |
---|---|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개념 | 컬렉션(collection)의 각 요소를 순차적으로 순회하면서 코드 블록을 실행 컬렉션에는 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 |
for 변수 in 컬렉션:
실행할 코드
<예시>
# 숫자 리스트의 각 요소를 제곱한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
numbers = [1, 2, 3, 4, 5]
for number in numbers:
square = number ** 2
print(f"{number}의 제곱은 {square}입니다.")
개념 | 특정 범위의 숫자 시퀀스를 생성 |
특징 | for문과 함께 자주 사용됨 |
반복 횟수를 지정할 때 유용함 |
for i in range(시작, 종료, 단계):
실행할 코드
자리 | 의미 | 예시 |
시작 | 시작할 숫자 (기본값 0) |
for i in range(1, 10, 2): print(i) # 결괏값 1, 3, 5, 7, 9 |
종료 | 종료할 숫자 (해당 숫자는 포함하지 않음) |
|
단계 | 숫자 간의 간격 (기본값 1) |
개념 |
조건식이 참인 동안 반복해서 코드 블록을 실행
조건식이 거짓이 되면 반복문이 종료됩니다.
|
while 조건식:
실행할 코드
#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아, 그 숫자가 0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입력받는 프로그램
number = int(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 (0을 입력하면 종료): "))
while number != 0:
print(f"입력한 숫자는 {number}입니다.")
number = int(input("다시 숫자를 입력하세요 (0을 입력하면 종료): "))
print("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")
개념 | 반복문을 즉시 종료시킴 반복문 내에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더 이상 반복할 필요가 없을 때 사용함 |
for i in range(1, 11):
if i == 5:
break
print(i)
개념 | 현재 반복을 건너뛰고, 다음 반복을 이어감 특정 조건에서 코드 블록의 일부를 실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고 싶을 때 사용함 |
for i in range(1, 6):
if i % 2 == 0:
continue
print(i)
이 예시에서는 i가 짝수일 때 continue 문이 실행되어,
그 다음 코드는 건너뛰고 반복문이 계속됨
따라서 1, 3, 5만 출력됨
#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아, 음수를 입력할 경우 반복문을 종료하는 프로그램
while True:
number = int(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 (음수를 입력하면 종료): "))
if number < 0:
print("음수가 입력되어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")
break
if number % 2 == 0:
print("짝수입니다.")
continue
print("홀수입니다.")
개념 | 반복문 안에 또 다른 반복문을 사용하는 것 |
특징 | 2차원 데이터(예: 행렬)를 처리할 때 유용함 |
복잡한 반복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함 |
for i in range(첫 번째 범위):
for j in range(두 번째 범위):
실행할 코드
# 구구단 출력 프로그램
for i in range(2, 10):
print(f"{i}단:")
for j in range(1, 10):
print(f"{i} x {j} = {i*j}")
print() # 각 단마다 줄바꿈 추가
2단부터 9단까지의 구구단을 출력함
모듈(import, from), 모듈 탐색 경로 (2) | 2024.12.07 |
---|---|
자주 사용되는 내장 함수들 (0) | 2024.12.07 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if 조건식1:
실행할 코드1
elif 조건식2:
실행할 코드2
elif 조건식3:
실행할 코드3
else:
실행할 코드4 (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)
<예시>
# 사용자로부터 점수를 입력받아 학점을 출력하는 프로그램
score = int(input("점수를 입력하세요: "))
if score >= 90:
print("A 학점")
elif score >= 80:
print("B 학점")
elif score >= 70:
print("C 학점")
elif score >= 60:
print("D 학점")
else:
print("F 학점")
if 조건식1:
if 조건식2:
실행할 코드1
else:
실행할 코드2
else:
실행할 코드3
<예시>
# 사용자로부터 나이와 학생 여부를 입력받아 상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
age = int(input("나이를 입력하세요: "))
is_student = input("학생입니까? (yes/no): ")
if age >= 18:
if is_student.lower() == "yes":
print("성인이며, 학생입니다.")
else:
print("성인이며, 학생이 아닙니다.")
else:
if is_student.lower() == "yes":
print("미성년자이며, 학생입니다.")
else:
print("미성년자이며, 학생이 아닙니다.")
자주 사용되는 내장 함수들 (0) | 2024.12.07 |
---|---|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(숫자형, 문자형, 불리언) (0) | 2024.12.07 |
: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 (정수 -> 문자열, 문자열 -> 실수)
명시적 타입 변환 (프로그래머가 직업 타입 변환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식) |
|
함수 | 예시 |
int() |
실수를 정수로 변환 a = 3.14 b = int(a) print(b) # 3 |
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c = "100" d = int(c) print(d) # 100 |
|
주의 : 변환하려는 문자열이 숫자가 아니면 오류가 발생 e = int("abc") # ValueError: invalid literal for int() |
|
float() |
정수를 실수로 변환 a = 10 b = float(a) print(b) # 10.0 |
문자열을 실수로 변환 c = "3.14" d = float(c) print(d) # 3.14 |
|
주의 : 변환하려는 문자열이 실수 형태가 아니면 오류가 발생 e = float("abc") # ValueError: could not convert string to float |
|
str() |
정수를 문자열로 변환 a = 10 b = str(a) print(b) # "10" |
실수를 문자열로 변환 c = 3.14 d = str(c) print(d) # "3.14" |
|
bool() |
숫자를 불리언으로 변환 a = 0 b = bool(a) print(b) # False c = 1 d = bool(c) print(d) # True |
빈 문자열과 None은 False e = "" f = bool(e) print(f) # False |
|
그 외의 값은 True g = "Hello" h = bool(g) print(h) # True |
|
list() |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 a = "hello" b = list(a) print(b) # ['h', 'e', 'l', 'l', 'o'] |
tuple() | 리스트를 튜플로 변환 c = [1, 2, 3] d = tuple(c) print(d) # (1, 2, 3) |
set() | 리스트를 셋으로 변환 (중복 제거) e = [1, 2, 2, 3, 4] f = set(e) print(f) # {1, 2, 3, 4} |
: Python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
# 정수와 실수의 연산에서 발생하는 암시적 변환
a = 5
b = 2.0
c = a + b
print(c) # 7.0 (정수 5가 실수 5.0으로 암시적 변환됨)
print(type(c)) # <class 'float'>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---|---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(숫자형, 문자형, 불리언) (0) | 2024.12.07 |
연산 함수 정리(산술, 비교, 논리, 대입, 비트, 멤버십, 식별) (0) | 2024.12.07 |
리스트(List) | ||
리스트란? | 여러 개의 항목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가변 자료형 | |
표현법 | 대괄호[], 쉼표(,)로 구분됨 | |
특징 | 1. 순서가 있다. | |
2. 가변적이다. | ||
3. 중복된 요소를 가질 수 있다. | ||
사용 예시 | ||
종류 | 함수 | 예시 |
생성 | 리스트명 = [] |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 |
요소 접근 | print(fruits[0]) | print(fruits[0]) # apple |
요소 변경 | fruits[1] | fruits[1] = "blueberry" print(fruits) # ['apple', 'blueberry', 'cherry'] |
요소 추가 | .append() | fruits.append("orange") print(fruits) # ['apple', 'blueberry', 'cherry', 'orange'] |
요소 제거 | .remove() | fruits.remove("blueberry") print(fruits) # ['apple', 'cherry', 'orange'] |
길이 확인 | len() | print(len(fruits)) # 3 |
튜플(Tuple) | ||
튜플이란? | 리스트와 유사하지만, 한 번 생성되면 수정할 수 없는 불변 자료형 | |
표현법 | 소괄호(), 쉼표(,)로 구분됨 | |
특징 | 1. 순서가 있다 | |
2. 불변적이다 | ||
3. 중복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| ||
사용 예시 | ||
종류 | 함수 | 예시 |
생성 | 튜플명 = () | coordinates = (10, 20) |
요소 접근 | print(coordinates[0]) | # 튜플 요소 접근 print(coordinates[0]) # 10 |
요소 변경 | 변경 불가 | # 튜플은 불변이므로 요소 변경 불가 # coordinates[0] = 15 # 오류 발생 |
길이 확인 | len() | # 튜플 길이 확인 print(len(coordinates)) # 2 |
하나의 요소를 가진 튜플 생성 | 튜플명 = (5,) | # 하나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생성할 때는 뒤에 쉼표를 붙임 single_element_tuple = (5,) print(type(single_element_tuple)) # <class 'tuple'> |
딕셔너리(Dictionary) | ||
딕셔너리란? | 키-값 쌍{Key-Value Pair}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 | |
표현법 | 중괄호{}, 각 키와 값은 콜론(:)으로 구분됨 | |
특징 | 1. 순서가 없으며(버전 3.7부터는 삽입 순서 유지), 키를 통해 접근함 | |
2. 가변적 | ||
3. 키는 유일해야 하며, 값은 중복될 수 있음 | ||
사용 예시 | ||
종류 | 함수 | 예시 |
생성 | 딕셔너리명 = {} | # 딕셔너리 생성 person = { "name": "Alice", "age": 25, "city": "New York" } |
값 접근 | print(딕셔너리명[key]) | print(person["name"]) # Alice |
값 변경 | 딕셔너리명[key] = value | person["age"] = 26 print(person) # {'name': 'Alice', 'age': 26, 'city': 'New York'} |
값 새로 추가하기 | 딕셔너리명[key] = value | person["email"] = "alice@example.com" print(person) # { 'name': 'Alice', 'age': 26, 'city': 'New York', 'email': 'alice@example.com' } |
키-값 쌍 제거 | del 딕셔너리명[key] | del person["city"] print(person) # { 'name': 'Alice', 'age': 26, 'email': 'alice@example.com' } |
키 목록 접근 | person.keys() | print(person.keys()) # dict_keys(['name', 'age', 'email']) |
값 목록 접근 | person.values() | print(person.values()) # dict_values(['Alice', 26, 'alice@example.com']) |
셋(Set) | ||
셋이란? | 중복되지 않는 요소들의 집합을 나타냄 | |
표현법 | 중괄호{}, 순서가 없음,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| |
특징 | 1. 순서가 없음 | |
2. 가변적 | ||
3. 중복된 요소를 가질 수 없음 | ||
사용 예시 | ||
종류 | 함수 | 예시 |
생성 | 셋명 = {} | numbers = {1, 2, 3, 4, 4, 5} # 중복된 요소는 하나로 처리됨 print(numbers) # {1, 2, 3, 4, 5} |
요소 추가 | .add() | numbers.add(6) print(numbers) # {1, 2, 3, 4, 5, 6} |
요소 제거 | .remove() | numbers.remove(3) print(numbers) # {1, 2, 4, 5, 6} |
셋의 집합 연산 | ||
생성 | 셋명 = {} | odd = {1, 3, 5, 7} even = {2, 4, 6, 8} |
합집합 | .union() | union_set = odd.union(even) print(union_set) # {1, 2, 3, 4, 5, 6, 7, 8} |
교집합 | .intersection() | intersection_set = numbers.intersection(odd) print(intersection_set) # {1, 5} |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---|---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(숫자형, 문자형, 불리언) (0) | 2024.12.07 |
연산 함수 정리(산술, 비교, 논리, 대입, 비트, 멤버십, 식별) (0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| |
종류 | 설명 |
숫자형 | 10은 숫자 |
문자형 | "Hello"는 문자열(문자 데이터) |
불리언 | True는 불리언(논리 데이터) |
숫자형 | ||
종류 | 함수 | 예시 |
정수형 | int() | 10, =5, 0 |
실수형 | float() | 3.14, 0.001, 2.0 |
복소수형(complex) | 1 + 2j, 3 - 4j |
문자형 | ||||
종류 | 표현법 | 예시 | ||
기본형 | 작은 따옴표(''), 큰 따옴표("") | name = "Alice" greeting = 'Hello, World!' |
||
여러 줄 문자열 | 삼중 따옴표(''', """) | message = """안녕하세요! 여러 줄의 문자열을 이렇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.""" |
||
문자열 연결 | + | full_name = "Alice" + " " + "Smith" # Alice Smith | ||
문자열 반복 | * | repeated_greeting = "Hello! " * 3 # Hello! Hello! Hello! |
||
문자열 인덱싱 | print(text[숫자]) | text = "Python" print(text[0]) # 'P' |
||
문자열 슬라이싱 | print(text[시작:끝] | text = "Python" print(text[1:4]) # 'yth' |
불리언 | ||
종류 | 표현법 | 예시 |
기본형 | True, False 두 가지만 가질 수 있음 | is_sunny = True is_raining = False |
불리언 연산 | and, or, not | a = True b = False print(a and b) # False print(a or b) # True print(not a) # False |
비교 연산의 결과 | ==, !=, >, < | x = 10 y = 20 print(x == y) # False print(x < y) # True |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---|---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연산 함수 정리(산술, 비교, 논리, 대입, 비트, 멤버십, 식별) (0) | 2024.12.07 |
산술 연산자 |
|||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 |
+ | 덧셈 | 3 + 2 | 5 |
- | 뺄셈 | 5 -2 | 3 |
* | 곱셈 | 4 *3 | 12 |
/ | 나눗셈 | 10 / 2 | 5.0 |
% | 나머지 | 7 % 3 | 1 |
** | 거듭제곱 | 2 ** 3 | 8 |
// | 몫 | 7 // 3 | 2 |
비교 연산자 |
|||
연산자 | 기능 | 에시 | 결과 |
== | 값이 같음 | 3 == 3 | True |
!= | 값이 다름 | 3 != 4 | True |
> | 큼 | 5 > 2 | True |
< | 작음 | 2 < 5 | True |
>= | 크거나 같음 | 5 >= 5 | True |
<= | 작거나 같음 | 4 <= 5 | True |
논리 연산자 | |||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 |
and |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 | True and False | False |
or | 두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일 때 | True of False | True |
not | 논리값을 반대로 뒤집음 | not True | False |
a = True
b = False
print(a and b) # False
print(a or b) # True
print(not a) # False
대입 연산자 | |||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 |
= | 값 할당 | x = 5 | x = 5 |
+= | 더한 후 할당 | x += 3 | x = x + 3 |
-= | 뺀 후 할당 | x -= 3 | x = x - 3 |
*= | 곱한 후 할당 | x *= 2 | x = x * 2 |
/= | 나눈 후 할당 | x /= 2 | x = x / 2 |
%= | 나머지를 구한 후 할당 | x %= 2 | x = x % 2 |
**= | 거듭제곱 후 할당 | x **= 2 | x = x ** 2 |
//= | 몫을 구한 후 할당 | x //= 2 | x = x // 2 |
x = 10
x += 5 # x = x + 5
print(x) # 15
x *= 2 # x = x * 2
print(x) # 30
x //= 3 # x = x // 3
print(x) # 10
비트 연산자 ( 이진수(bit) 수준에서 연산을 수행함 ) |
|||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 |
& | 비트 AND | 5 & 3 | 1 |
| | 비트 OR | 5 | 3 | 7 |
^ | 비트 XOR | 5 ^ 3 | 6 |
~ | 비트 NOT (보수) | ~5 | -6 |
<< | 왼쪽 시프트 (Left Shift) | 5 << 1 | 10 |
>> | 오른쪽 시프트 (Right Shift) | 5 >> 1 | 2 |
a = 5 # 이진수로 101
b = 3 # 이진수로 011
print(a & b) # 1 (이진수 001)
print(a | b) # 7 (이진수 111)
print(a ^ b) # 6 (이진수 110)
print(~a) # -6 (이진수 보수)
print(a << 1) # 10 (이진수 1010)
print(a >> 1) # 2 (이진수 010)
멤버십 연산자 [특정 값이 시퀀스(문자열, 리스트, 튜플 등)에 속해 있는지 확인] |
|||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 |
in | 시퀀스에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| "a" in "apple" | True |
not in | 시퀀스에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 | "b" not in "apple" | True |
식별 연산자 (두 변수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는지 확인) |
|||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 |
is | 두 변수가 동일 객체인지 확인 | a is b | True or False |
is not | 두 변수가 동일하지 않은 객체인지 확인 | a is not b | True of False |
x = ["apple", "banana"]
y = ["apple", "banana"]
z = x
print(x is z) # True (z는 x를 가리킴)
print(x is y) # False (x와 y는 내용은 같지만, 다른 객체)
print(x == y) # True (x와 y는 값이 동일함)
print(x is not y) # True (x와 y는 다른 객체)
반복문(for(+range()), while), 반복 제어(break, continue), 중첩 반복문 (0) | 2024.12.07 |
---|---|
조건문 (if), 중첩 조건문 (1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 변환(명시적, 암시적) (0) | 2024.12.07 |
컬렉션 자료형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) (0) | 2024.12.07 |
데이터 타입(숫자형, 문자형, 불리언) (0) | 2024.1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