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LLM과 Meshy를 통해 프롬프팅 분석

본 게시물은 🔗 Meshy 홈페이지를 분석하는 글이에요.

3. Type, T-pose, 실사 느낌, 카툰 느낌, 환경
4. 대분류 : 사람, 건물
5. 중분류 : 환경, 여름 환경, 겨울 환경
예) 곰 -> "여름에 서식하는 곰 색상은?"

 

▲ 이 내용을 담은 글이에요!


▼ 금주해야 할 일

WBS(업무분할구조)
API 명세서
<LLM 사용해서 좋은 프롬프팅 만들기>
1. 한글로 입력
2. 조금 더 좋은 프롬프트 생성 Rest API로 Swagger
3. Type, T-pose, 실사 느낌, 카툰 느낌, 환경
4. 대분류 : 사람, 건물
5. 중분류 : 환경, 여름 환경, 겨울 환경
예) 곰 -> "여름에 서식하는 곰 색상은?"
6. 프롬프팅 생성 (0.3은 DRF로 시작) -> Rest API 만들고 -> Front 연결 Swagger -> api_v1

 

1,2,6은 Back-end로 구현할 것이고 게시물은 [▶️Back-end] 사용자 입력의 Prompt를 다듬는 기능 구현 시리즈에 포함돼 있어요.


📋 prompt 기능 구현 시, serializers.py에 포함해야할 키워드

공통 사항

  1. 4K
    1. 4K resolution
    2. 4k textures
    3. fluffy 4k (texture)
  2. Highly detailed.
  3. 특정 스타일 관련 키워드(예 : Cartoon, Horror, industrial aesthetic, realistic style)

포즈 관련

  1. A-pose
    1. Standing in a A-pose
  2. T-pose
    1. Standing T-pose
    2. #game figure#
  3. Attack pose
  4. dynamic pose

📋 사람이 보기 편한 분류

☑️ 3D 모델링 대분류

사람, 건물, 만화(캐릭터), 사물, 동물, sci-fi(사이언스 픽션), 빈티지 등등

이렇게 분류하고자 하니까 점점 더 늘어나는 거 같아서 불편하네요. 🤔
기준도 모호하고 대분류로 구분한다 하여도, 아래 항목을 다 담아내진 못할 것 같아요. 🤔

☑️ 3D 모델링 중분류

봄, 여름, 가을, 겨울, 어둠, 불 등등

한계치를 느낀 것이 중분류에서 확 느껴지네요.
세분화를 거치면 거칠수록 목록이 많아져서 관리할 때 비효율적이라 생각해요.

📋 LLM에서는 태그(#)로 분류

Meshy Main page

LLM에는 태그(#)로 넣어주어도 스스로 잘 알아듣기 때문에 태그(#)로 구분할 거예요.
실제로 Meshy(메시와이)에서도 태그(#)로 분류하고 있어요.

 

Meshy의 태그(#) 목록

동물, 건축, 추상 예술, 캐릭터, 문화 역사, 전자 제품, 패션 스타일, 음식 음료 가구, 음악, 자연 식물, 장소 여행, 과학 기술, 스포츠 피트니스, 차량, 무기 군사 등등

생성된 모델을 토대로 태그(#)가 자동 추가되는 느낌이네요. 🤔

 

# 동물

 

프롬프트 : highly detailed snail with a perfect shell 4k detail, #game figure#,

고품질 디테일이길래 들여다 보았는데 프롬프트에 "highly detailed"과 "a perfect shell 4k detail"이 적혀 있더라고요.
그래서 태그 중에 4K를 눌러서 다른 글도 보았어요.

 

"오,," 하면서 생성될 모델들은 프롬프팅 때 "4K"를 끝에 입력하더라고요.
저희 Miravelle에도 4K가 입력되도록 해야겠어요.

# 건축

건축 부분은 거의 이미지를 첨부해서 3D 모델을 생성하거나, 특정 스타일 관련 키워드(예, cartoon style, with a storybook appearance, Gothic horror, industrial aesthetic)를 포함하면 생성이 잘 되는 편이었어요.

Cartoon style
Gothic horror
industrial aesthetic


포즈

A-pose

"Standing in a A-pose" 혹은 "A-pose"로 기입하면 모델링화 될 때 나와요. 

Standing A-pose

 

T-pose

"#game figure#" 또는 "T-pose"를 적으면 생성되더라고요.

#game figure#

Attack pose

"Attack pose"도 마찬가지였어요. 

Attack pose


📋 분석한 걸 토대로 직접 프롬프팅한 결과

# 동물 1

프롬프트 :
A baby red dragon, 4k, highly detailed, cartoon style

마음에 안 들어서 한 번 더 생성하기 눌렀어요.

Texturing

역시 텍스처링은 한 번에 끝나지 않는 걸까요 🤔
뭔가 예쁘게 한 번에 끝날 줄 알았는데 뒷면에 얼굴이 또 있어서 당황했어요.

 

# 동물 2

프롬프팅 :
A baby yellow duck, 4k, highly detailed, realistic style.

 

Texturing

ㅎ,, Realistic style이긴 하네요,, ㅎ
텍스처링에서 난리가 나는데, 이게 어떤 공통점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인지 잘 모르겠어요. 🤔

 

+ Recent posts